본문 바로가기
중국

농업

by 청락더락 2020. 4. 13.

중국에는 농사를 짓기에 편리한 3대 평야가 있으며 이는 호북평야, 호남평야, 사천평야입니다. 중화인민공화국의 국토는 신석기 시대에 이미 경작되어 있었고 경지도 널리 분포해 있어 각지의 토지 이용이나 농업 경영방식은 지역별 자연조건이라든가 사회환경에 따라 크게 차이가 나며 중국인 학자들과 함께 치밀한 현지조사를 한 로싱백은 화이허와 친링선에서 수도지역과 소맥지역으로 크게 둘로 나누고 나아가서 다시 소맥지역을 창장수도 소맥구, 쓰촨수도구, 수도와 차구 그리고 서남수도구, 수도 2기작구로 세분하고 한편 북부의 소맥지대를 겨울보리, 수수구, 겨울보리, 조구, 봄보리구로 구분했습니다. 이러한 지역구분은 주변 지대로의 확대도 가능하여 동북지구를 콩, 수수구로 보고 내몽골 지방과 티베트 및 칭하이 지방을 목축구로 타이완과 하이난섬을 2기작구로 볼 수도 있으며 종래 주오하인민공화국의 농가는 주로 자급용기의 곡물과 콩 종류를 재배하고 여력이 있으면 판매용 작물을 길렀으며 수도는 기온이 높고 강우량이 많은 화이허이남에서 주로 생산되는데 특히 광둥의 푸젠 양성 연해 지방은 이모작이 가능합니다.

쌀의 총생산량은 17,825t으로 방글라데시에 이어 세계 제2위이지만 국내소비가 많기 때문에 수출은 소량입니다. 소맥은 중국본토 북부와 동부지구 북부를 중심으로 하며 화이허와 양쯔강에 연하여 평야지대에서도 제2기작으로서 재배되며 산시, 산시북부에서 옌산산지 북서에 걸치는 지방에서는 기후가 한랭한 관계로 춘경보리가 재배되며 총 생산 3,200만t으로 만주, 바오즈 등을 주식으로 하기 때문에 대부분 국내에서 소비됩니다. 고구마는 산둥과 허베이, 허난에서 재배되고 조, 수수등은 동북과 화북의 평야 및 쓰촨 분지에서 많이 산출되며 옥수수는 랴오둥반도, 황하 이북의 후베이평야, 산시, 산시의 남부에서 쓰촨에 걸치는 지대에서 많이 나는데 식량과 사료로 쓰입니다. 

콩은 둥베이 평원과 산둥 반도에서 많이 나오는데 총생산고는 약 1,212만 t이며 면화는 랴오허 하류의 평야에서부터 후난, 쓰촨, 구이저우의 각 성에 이르는 지역에 분포해 있으며 허베이 평화지대, 산시, 산시의 남부, 후난, 장쑤, 안후이, 후베이의 제성이 그 생산 중심이 되어 있으며 면화는 관개작물로 결실기의 건조한 기후가 양질의 작물을 낳습니다. 가축은 돼지, 닭, 오리 외에 노력과 배료원으로서 나귀, 노새, 소, 물소, 말 등이 많으며 양은 식육 및 모자원으로서 동북지구, 내몽골 지방, 신장 위구르 지방, 티베트 등 변경 지대에서 많이 사육됩니다. 중화인민공화국에는 고도 경제 성장의 이면에 농업의 저생산성, 농촌의 황폐, 농민의 저소득이라는 3농 문제가 심각하여 경제성장을 방해하는 요인이 되었으며 도시와 농촌의 수입격차가 계속 확대하면서 토지 수용에 과한 쟁의도 빈발합니다.중화인민공화국 정부는 농업생산진흥책과 농업세의 폐지 등에 열의를 보여서 2007년 3월의 제10기 전인대 제3회 회의에서는 물권법을 제정하여 토지사용권의 물권화를 인정하여 농촌대책비를 긴급 증편하여 농촌의 의료와 교육에 대한 보조금의 증액을 결정하였습니다. 

'중국'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통 (중국)  (0) 2020.04.13
중국의 공업과 무역  (0) 2020.04.13
대약진 운동 그 이후  (0) 2020.04.12
중국의 대회정책 및 경제  (0) 2020.04.12
중국 외교  (0) 2020.04.1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