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공업과 무역
2차대전 전의 중화인민공화국의 공업 분포는 일본이 지배했던 동북지구와 함포외교 아래 열강이 투자한 연해 지역, 대하천 유역에 한정되어 있었으나 중일 전쟁이 1937년에 발발하며서 국방상의 배려로 공업이 내륙지방으로 소개되고 또 전후에는 공업의 적정재배치가 단행되어 종래의 공업 편재상은 상당히 수정되었습니다. 전전 동북지구의 안산 벤시후를 비롯해 허베이, 산시, 쓰촨, 후베이 등지가 중심이 되었던 제철, 제강업은 전후 기간산업으로서 중요성을 더하여 우한, 바오터우 등지에 거대한 철강공업 기지가 신설되었습니다. 중기계공업을 보면 광산 야금기계가 타이위안, 선양, 치치하얼 등지에서 발전기가 상하이, 하얼빈 등지에서 그리고 정유기계가 란저우에서 제조되고 있으며 중형 기계공업으로는 방직기계가 유위츠, 상하이, 칭..
2020. 4. 13.
농업
중국에는 농사를 짓기에 편리한 3대 평야가 있으며 이는 호북평야, 호남평야, 사천평야입니다. 중화인민공화국의 국토는 신석기 시대에 이미 경작되어 있었고 경지도 널리 분포해 있어 각지의 토지 이용이나 농업 경영방식은 지역별 자연조건이라든가 사회환경에 따라 크게 차이가 나며 중국인 학자들과 함께 치밀한 현지조사를 한 로싱백은 화이허와 친링선에서 수도지역과 소맥지역으로 크게 둘로 나누고 나아가서 다시 소맥지역을 창장수도 소맥구, 쓰촨수도구, 수도와 차구 그리고 서남수도구, 수도 2기작구로 세분하고 한편 북부의 소맥지대를 겨울보리, 수수구, 겨울보리, 조구, 봄보리구로 구분했습니다. 이러한 지역구분은 주변 지대로의 확대도 가능하여 동북지구를 콩, 수수구로 보고 내몽골 지방과 티베트 및 칭하이 지방을 목축구로 타..
2020. 4. 13.
중국 외교
중화인민공화국의 최고행정기관은 국무원으로 즉 중앙인민정부입니다. 국무원은 내정, 외교, 재정, 경제, 문화, 교육, 위생, 공공사업 등 행정사무를 조직하고 관리하여 행정결정과 명령을 반포하고 전국 지방 각급 국가행정기관의 사업을 통일적으로 지도하며 국무원은 총리, 부총리, 국무위원, 각 위원회 주임, 각부부장, 심계서 계장, 비서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8개의 부서로 조직되어 있습니다. 중화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은 22개의 성 그리고 5개의 자치구와 4개이 직할시 그리고 2개의 특별행정구로 구성되며 이 중에서 홍콩, 마카오, 타이완을 제외한 지역을 중국 대륙으로 칭합니다. 중화인민공화국은 아직까지 사법부의 독립성이 확보되지 않아서 사법 절차에서 자백을 얻기 위한 고문과 영장 없는 자의적인 체포 등의 인권..
2020. 4.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