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족(回族)은 중국 소수민족 가운데서 인구수가 많은 민족입니다. 총인구는 10586087명(2010년 기준, 대만 미포함)이었으며 전국 31 개성, 자치구, 직할시에 분포되어 있습니다. 영하 회족자치구가 주요하게 분포되어 있는 지역이며 전구의 회족 인구는 186.25만 명에 달하며 중국 전국 회족 인구의 18.9%에 달합니다. 그 외 회족 인구가 20만 명 이상이 되는 지역으로는 북경, 허베이, 내몽골, 요녕, 안휘, 산동, 하남, 운남, 감숙과 신강 등 지역에 분포되어 있습니다. 지도상으로 동, 중, 서 3대 지구를 놓고 볼 때 회족 인구는 서부에 많이 집결되어 있으며 이는 총인구수의 60.75%에 달합니다. 그다음으로는 동부지구 마지막으로는 중부지구에 제일 적게 분포되어 있습니다. 남북으로 놓고 볼 때 회족은 주요하게 화 하류 역의 북방의 각성에 있으며 남방에는 회족 인구가 비교적 적은 편입니다. 중국의 제5차 인구조사에 따르면 총 56개 민족 중 흩어져 있는 민족의 순위를 보면 첫 번째가 한족이고 그다음으로 고산족이며 세 번째로 회족일 만큼 회족은 중국에서 제일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는 민족입니다.
회족의 형성은 시간을 거슬러 올라 중국의 당대에 형성이 되었으며 학술계에서는 회족이 명대에 형성이 되었다고 합니다. 원대는 회족의형성이 준비되는 시기였으며 명대는 회족이 최종 형성된 시기입니다.
현재에는 회족도 한어(汉语)로 통용된 언어를 사용하고 있지만 아직도 일부 지역에서는 지방어를 하고 있습니다. 회족선민이 동으로 이전하였을 초기에는 아랍어와 페르시아어 그리고 한어를 동시에 사용하였습니다. 하지만 장기간 한족과 함께 생활하면서 회족은 점차 한어를 많이 사용하게 되었으며 일부 단어는 아직도 아랍어와 페르시아어를 사용하고 있는 거로 조사되었습니다.
명중 시기 경당 교육이 나타나기 시작하면서 경당어와 소아 금이 나타나기 시작하였습니다. 경당 어는 중국 이슬람교 모스크 (清真寺) 경당 교육 중에 사용하는 전문적인 언어이며 한어를 아랍어와 페르시아어로 음역을 하거나 한어의 단어를 페르시아어나 아랍어로 음역 한 것이며 동시에 중국의 유, 도, 불 등의 사용언어에 많은 변화를 가져다주었습니다.
소아 금은 경사(经师)들이 중국의 특정 역사 조건을 창조한 하나의 병음 문자입니다. 소아 금은 아랍 자모와 한어를 두루 사용하였으며 그중에는 아랍어, 페르시아어 가끔은 한어를 섞어서 사용하기도 했습니다.
다른 민족과 함께 살고 있는 회족은 다른 민족의 언어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운남 시쐉반나(西双版纳)의 회족은 다이어(傣语)를 사용하며 다이문을 쓰고 다이족의 복장을 입기도 합니다. 운남의 얼왠현(洱源县)의 회족은 흰색옷을 입고 백족의 언어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그 외 지역에서 거주하는 회족도 이와 같이 그곳의 언어를 사용하며 그곳의 민족 습성을 따르고 생활하고 있습니다.
이슬람교는 회족의 형성과 발전에 아주 큰 영향을 미칩니다. 모스크사원에서 회족의 종교활동을 하는 장소이며 또한 종교교육을 진행하고 종교의 상식을 전파하며 종교 직업군을 배양하는 중요한 장소입니다. 그 외 회족의 정치, 경제, 문화, 생활 등 공익활동을 하는 장소 이기도 합니다.
회족의 일상적인 습성을 놓고 볼때 농후한 이슬람의 색채를 갖고 있습니다. 이슬람교의 규칙에 근거하여 회족은 돼지, 말, 당나귀, 노새, 개고기와 자체적으로 죽은 동물, 동물피를 먹지 않으며 생김새가 기괴한 날아다니는 동물, 걸어 다니는 동물을 먹지 않습니다. 그것이 소, 양, 낙타, 계류가 되었을 지라도 무조건 예배를 드리고 죽여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며 먹을 수가 없습니다. 일상생활 중 회족은 담배를 피우지 않으며 술을 마시지 않으며 보통은 차를 즐겨 마시고 손님 대접을 차로 많이 합니다. 회족은 많은 지역에 분포되어 있기 때문에 차 문화도 많이 다릅니다.
회족 여성은 머리의 대부분을 가리고 다니며 광주 해남등 연해지역이든지 내륙이든 모두 녹, 청, 백 3가지 색상으로 하고 다니며 이것은 소녀, 유부녀, 노인을 구분하기도 합니다. 소녀는 보통 녹색을 많이 하고 유부녀는 검은색을 하며 손자가 있거나 연세가 많은 여인은 흰색을 해야 합니다. 의미는 녹색을 하면 청순함을, 흰색은 진중함을, 검은색은 우아함을 나타내기 위해서입니다. 노인의 머리 씌우개는 비교적 길며 허리길이까지 길며 소녀와 유부녀의 머리 씌우개는 비교적 짧은 편이며 보통은 목부분 정도의 길이입니다.
댓글